반응형
문제
- 자동완성 기능 구현을 위해 elasticSearch 세팅중, Kibana를 사용해 보려고 세팅시도
- 공식문서대로 따라하였으나, 동작하지 않는 문제 발생
원인
Docker
- Docker에서 네트워크 설정으로 인하여 IP가 변경됨.
- 그에 따라서 Kibana의 키를 발급 받는 것도, 네트워크설정상의 IP:9200 으로 발급 받아야함
- docker에 elastic 구성 및 kibana 구성할 때 참고한 공식문서
https://www.elastic.co/guide/en/elasticsearch/reference/current/docker.html#_next_steps_5 - 아래는 공식문서에 나와있는 kibana 토큰 발급 구문이다.
docker exec -it es01 /usr/share/elasticsearch/bin/elasticsearch-create-enrollment-token -s kibana
- 하지만 이대로 나온 토큰을 로컬 크롬 브라우저에서 집어넣고 kibana에 접속 시도하였을때 동작하지 않는다.
- 위에서 언급했던 대로 net 설정으로, 브라우저에서 접속하는 ip가 변경되었기 때문이다.
해결 방법(Docker desktop 이용)
- 일단 elasticSearch의 Inspect탭으로 가서, NetworkSettings를 찾아야한다
- 그뒤 아래에서 IPAddress를 찾는다.
- 그 값을 적어둔다.
- 터미널로 이동하여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. 위 토큰 발급 부분에서 뒤에 url 부분만 추가한 명령어다
- url부분에 위에서 적어둔 값을 넣는다. 참고로 저 ip는 공식문서에 나와있는 것과 같은 구문이다.
docker exec -it es01 /usr/share/elasticsearch/bin/elasticsearch-create-enrollment-token -s kibana --url "https://172.0.0.3:9200"
- 그럼 토큰이 발급되는데, 그 토큰을 복사한뒤, 접속되지 않던 kibana의 콘솔에 적어넣는다.
- 로그인 창이 뜨면 elasticsearch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적어넣는다.
- 참고로 elastic - changeme는 동작하지 않아서, 그냥 패스워드 재발급 받았다.
bin/elasticsearch-reset-password -u elastic # 패스워드 재발급 받는 명령어
- 기다리면 아래와 같은 창을 볼 수 있다.
반응형
'Web > 유용한 설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모바일에서 https에서만 사용 가능한 기능 확인방법 (2) | 2024.09.05 |
---|---|
Vue 공식 확장 프로그램 자동완성 느림 이슈 (0) | 2024.05.02 |
파이썬 가상환경 실행 명령어 git bash 오픈시 자동실행 (0) | 2024.04.09 |
Ubuntu없이 windows git bash에서 zsh사용하기 (1) | 2024.03.28 |
부트스트랩 자동완성, 새로고침 없이 바로 페이지 확인 (0) | 2024.03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