웹 프로그래밍 딥하게 파보기

2024. 11. 28. 10:31·JAVA/웹 프로그래밍 딥하게 파보기
반응형

웹 프로그래밍을 딥하게 파보자

웹 프로그래밍을 시작하게 되면서, 이렇게 하면 그냥 이렇게 되요. 이런식으로 공부해왔다. 그렇지만 추후 이런 방식으로는 문제를 해결해야할 때 원인 분석부터 제대로 하지 못할 것이 분명하다.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기초 지식이 가장 중요하다.

목표

  • 서블릿부터 시작해서 어떻게 웹이 동작하는지에 대해 파본다.
  • chat GPT를 활용해서, 꼬리질문을 하면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어있는지 자세히 살펴본다.

    평소에 궁금했던, 이상했던 점을 공부한다.

  • 스프링만 해도 이상했다. 어떻게 localhost:8080만 쳐도 톰캣이 실행하고 있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, 그 요청을 감지하고 리턴을 주는거지?
  • http요청을 어떻게 처리하게끔 만들어두었을까?

대충 아는 부분을 깊게 공부 한다.

  •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문제가 생기는데, 대충 알고 넘어가는 부분이 있어서 당장 해결만 하고 넘어가다보니, 다음번에도 똑같은 문제가 생길 때가 많다.
  • 물론 처음 겪을 때보다는 낫지만, 문제를 처리하는데 시간이 소요가 된다.
  • 이 부분이 반복되는 게 싫기 때문에, 블로그에 정리해왔었는데, 결국 나중에는 읽지 않게 되어버렸다.
  • 깊게 이해하면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 때, 어디를 보고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.

시작

  • 서블릿 컨테이너
  • 서블릿 커넥터
  • 톰캣

위 세개를 시작점으로, 공부를 시작한다.

반응형

'JAVA > 웹 프로그래밍 딥하게 파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tmt와 pstmt의 차이  (2) 2024.12.18
왜 무상태여야하는가?  (1) 2024.12.09
스프링 대규모 요청이 왔을 때  (0) 2024.12.09
스프링의 역할  (2) 2024.12.06
자바로 HTTP 네트워크 요청이 전송되는 원리를 알아보자  (1) 2024.12.04
'JAVA/웹 프로그래밍 딥하게 파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왜 무상태여야하는가?
  • 스프링 대규모 요청이 왔을 때
  • 스프링의 역할
  • 자바로 HTTP 네트워크 요청이 전송되는 원리를 알아보자
cvcvcx9
cvcvcx9
프로그래머
  • cvcvcx9
    참치와 연어가 좋아
    cvcvcx9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  • 전체보기 (90)
      • JAVA (22)
        • 웹 프로그래밍 딥하게 파보기 (7)
        • String (2)
        • 자바의 다양한 객체 (3)
        • 클래스와 인터페이스, 추상클래스 (2)
        • 컬렉션과 자료구조 (6)
        • 제네릭 (0)
      • SPRING (3)
      • JPA 게시판 (19)
        • JPA게시판 만들기 (7)
        • JPA (10)
        • Spring Security (2)
        • 오류정리 (0)
      • 코딩테스트 준비 (4)
        • 자료구조 (3)
      • Python (21)
        • Django (21)
      • 컴퓨터 기초 (8)
        • 컴퓨팅사고 (7)
      • Web (7)
        • 유용한 설정 (6)
        • Git 관련 (1)
      • 데이터베이스 (1)
        • 친절한 SQL튜닝 (1)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홈
    • 태그
  • 링크

  • 인기 글

  • 반응형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3
cvcvcx9
웹 프로그래밍 딥하게 파보기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